본문 바로가기
명리(命理)/십간론

묘월(3월) 기토일간

by Antenna Saju 2021. 3. 28.
반응형

묘(卯) 월의 기토일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묘(卯) 월은 양력 3월 5일 경칩부터 춘분의 기간이 끝나는 4월 3일(4) 일까지 입니다. 동면에 들었던 동물들이 깨어나고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는 시기를 포함한 묘월은 땅의 봄에 해당하는 달입니다. 묘(卯)는 지장간이 갑목(甲)과 을목(乙)만으로 이루어진 글자라 묘월은 특히 목(木)의 기운이 강한 달입니다. 

 

 

1. 기토(己)의 특징

기토는 음양오행중에 음토(陰土)에 해당하는데 무토가 큰 산을 의미한다면 기토는 논밭이나 과수원 같은작은 땅을 의미합니다. 사이즈면에서는 무토 보다는 작지만 기토는 물이 촉촉이 스며있는 문전옥답으로 실제로 농사를 짓고 작물을 재배하여 결과물을 거둬들이는데에는 현실적인 땅입니다. 기토는 사이즈가 좁은 땅이라 가족주의 성향이 강한데 내 식구, 내 직장 동료와 같이 나의 주변의 것을 먼저 챙기는 경향이 강합니다. 그래서 천간의 글자 들 중에 이혼율이 가장 낮은 것이 기토 일간입니다.기토는 구름의 물상이 있어 역마성이 강하고 동물로는 '게'에 비유됩니다.'게'는 옆으로 걷는 동물로 집게가 달려있어 본인만의 개성이 강하고 대놓고 드러내지는 않지만 성깔도 있는 모습입니다. 

 

2. 묘(卯) 월의 기토 일간 특징

묘(卯) 월에는 보리를 심는 달입니다. 그래서 묘월에 기토는 그 자체만으로 무언가를 심는 물상으로 '풍요로움'을 의미합니다.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태양과 물이 필요한데 사주 원국에 태양에 해당하는 병화(丙)와 빗물에 해당하는 계수(癸)가 동조해 있다면 재물과 명예를 취할 수 있는데 어려움이 없는 사주입니다. 하지만 기토는 좁은 땅이라 농작물을 짓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도 있고 목(木)기가 왕하면 오히려 목극토로 인해 땅이 황폐해질 수도 있습니다. 

 

 

 

3. 묘(卯)월의 기토 일간과 다른 글자들과의 관계

1) 갑목(甲), 을목(乙)

사주원국 일주 월주
갑(甲)/을(乙) 기(己) X
X X 묘(卯)
관(官) X 병(病)

묘월의 기토일간이 천간의 다른 자리에 갑목이 있으면 갑목과 기토가 갑기합을 하여 본인의 땅에서 작물이 잘 자라는 모습이 됩니다. 기토가 토(土)의 글자가 지지에도 있고 천간에 다른 비견(기토, 己)이 없다면 재물복이 많은 사주입니다.

 

천간에 을목이 동조하고 있으면 묘(卯)의 칠살이 천간에 투출 한 것이라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하여야 합니다. 경금(庚)이 있으면 을경합이 되어 길한 모습이 됩니다.  

 

2) 병화(丙), 정화(丁)

사주원국 일주 월주
병(丙)/정(丁) 기(己) X
X X 묘(卯)
인성 X 병(病)

묘월의 기토일간은 작물을 잘 키우기 위해서는 태양이 꼭 필요합니다. 인성에 해당하는 병화(丙)가 있으면 학업성적이 좋고 명예가 높아지게 될 수 있습니다.

 

천간에 정화(丁)가 있으면 묘(卯)가 화초이고 정화는 꽃이 되어 난이 꽃을 피운 모습입니다. 묘(卯)가 정화를 목생화를 하여 살인 상생하는 흐름이 되어 학업으로 고위공직자에 오를 수 있는 사주가 됩니다. 

 

 

 

 

3) 무토(戊), 기토(己)

사주원국 일주 월주
무(戊)/기(己) 기(己) X
X X 묘(卯)
비겁 X 병(病)

무토(戊)는 큰 산이라 기토 옆에 무토가 있으면 농경지 옆에 큰 산이 있는 모습이 됩니다. 이런 경우 햇빛이 무토에 가려서 농작물이 잘 안 자라는 모습입니다. 현실에서는 형제가 부모님의 애정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발현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 부모님의 '유산'등으로 형제와 갈등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기토(己)와 동조하게 되면 기토옆에 기토가 있게 되므로 넓은 황야의 모습입니다. 묘월의 기토 일간은 작물을 잘 자라게 하지만 경작지가 좁은 것이 흠이었는데 기토를 하나 더 두게 됨으로써 농사지을 땅이 더 크게 생기게 되어 재물복이 많은 모습입니다. 역마가 더 강해지고 활발하게 움직이면서 재물을 취하는 사람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천간에 갑목(甲)이 투출 해있다면 갑기합으로 재물이 탈재될 위험이 높으니 재물관리가 중요합니다. 

 

4) 경금(庚), 신금(辛)

사주원국 일주 월주
경(庚)/신(辛) 기(己) X
X X 묘(卯)
식상 X 병(病)

묘(卯)월은 초목이 자라는 달입니다. 그런데 천간에 경금을 두면 경금(庚) 또는 신금(辛)이 동조하고 있으면 자라고 있는 어린 나무를 잘라버리는 모습이 됩니다. 그래서 하는 일이 진행이 잘 안 되는 경향이 있고  성격도 비정한 면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천간에 계수(癸)가 동조하고 있으면 금생수의 흐름이 되어 길한 모습이 됩니다. 

 

경금(庚)·신금(辛)이 있고 여기에 갑(甲)·을(乙)이 함께 있으면 본인의 말과 행동으로 구설수가 생길 수 있으니 늘 언행을 조심하여야 합니다.  여성분이라면 남편과 갈등을 겪을 수 있습니다. 

 

 

 

 

5) 임수(壬), 계수(癸)

사주원국 일주 월주 
임(壬)/계(癸) 기(己) X
X X 묘(卯)
재성 X 병(病)

묘(卯)월의 기토는 봄에 논농사를 짓는 물상으로 수(水)가 필요합니다. 임수(壬)가 호수라면 계수(癸)는 빗물을 의미하기 때문에 임수보다는 계수가 동조하는 것이 더 길한 모습이 됩니다. 계수(癸)가 동조한 경우에는 열심히 활동하면서 재물을 취하는 모습이고 남자분이시면 배우자가 활동적이고 열심히 사회활동을 하는 사람일 수 있습니다. 임수(壬)를 두었다면 지식을 활용하여 조용히 재물을 모으는 모습을 보이고 배우자가 조용하고 지적인 사람입니다. 임수(壬)는 묘(卯)에 '사(死)'지에 놓이기 때문에 배우자가 병약할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명리(命理) > 십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묘월 (3월) 신금일간 특성  (0) 2021.03.30
묘월 (3월) 경금일간 특성  (0) 2021.03.29
묘월(3月) 무토일간 특성  (0) 2021.03.28
3월 묘월의 정화일간  (0) 2021.03.24
묘월 3월 병화일간 특성  (0) 2021.03.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