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命理)/십간론

3월 묘월의 정화일간

by Antenna Saju 2021. 3. 24.
반응형

묘월의 정화 일간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묘월은 양력 3월5일(6)일 부터 4월 4일(5일)까지로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과 봄꽃이 만발하는 춘분이 있는 달입니다. 인(寅) 월이 하늘의 온도가 풀리는 하늘의 봄이라면 묘월은 땅이 녹기 시작하는 땅의 봄에 해당하는 시기입니다. 묘(卯)의 지장간은 갑목(甲)과 을목(乙)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묘월은 목(木)의 기운이 아주 왕성한 달입니다.

 

 

1. 정화(丁)의 특징

정화(丁)는 음양오행상으로 음(陰)의 화(火)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정화의 빛도 어둠을 밝히고 따뜻한 기운을 발산하는 성질을 지녔기 때문에 정화의 성질은 양의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화는 열을 촛불, 난롯불, 장작불, 화롯불의 물상으로 대표되며 이러한 불의 특징이 남을 위해 자신을 태우는 장작불처럼 정화의 불은 희생정신이 강하고 섬세하며 밝고 따뜻한 느낌이 있습니다.

 

태양을 의미하는 병화는 온 대지를 밝히지만 정화는 한정된 공간을 밝히는 특징이 있고 열기가 오르는데 시간이 어느정도 걸리지만 한 번 생긴 열기는 불이 꺼져도 일정 시간 동안 열기가 유지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폼생폼사인 병화와는 달리 정화는 현실적이고 실속을 챙기는 모습입니다. 병화처럼 화려하지는 않지만 정화는 세련되며 은은하게 화(火)의 운동을 마무리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병화는 하늘의 태양이라 사주원국에 1개만 있는 것이 길하지만 정화는 꽃송이에 꽃송이가 더 피는 것처럼정화는 2개이상 있는 화가 더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 길한 모습을 보입니다.

 

 

 

2. 묘(卯)월의 정화(丁)

일주 월주
정(丁) X
X 묘(卯)
X 병(病)/인수격

정화일간 기준으로 묘월은 십이운성의 병(病)에 해당합니다. 병(病)은 십이신살로 역마살에 해당하여 아주 활동성이 강한 성향을 보입니다. 하지만 '병(病)'지를 둔 사람은 실제 병에 걸리면 큰 병에 걸릴 우려가 있으므로 건강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십이운성 병(病)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사람들에게 관심 받는 에너지 도화살 같은, 십이운성 병(病)

이번편은 십이운성 중 병(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십이운성 병(病)에 관한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십이운성 개념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신 분들은 이 전에 올린 포스팅 확인 부탁드립니다.

forthehappylife.tistory.com

묘(卯) 월의 정화 일간은 목생화를 받아 정화가 음(陰)의 화(火)이지만 불길이 센 화(火)입니다. 특히, 묘(卯)의 지장간은 을목과 갑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왕이면 갑목이 투하는 것이 더 길하게 작용하고 을목이 투출한 경우에는 습기를 머금고 있어 목생화가 잘 안 될 수 있습니다. 

 

 

3. 묘(卯)월의 정화 일간과 다른 글자들의 관계

1) 갑목(甲), 을목(乙)

사주원국 일주 월주
갑(甲)/을(乙) 정(丁) X
X X 묘(卯) 
인성  X 병(病)/인수격

묘(卯) 월의정화일간이 사주원국의 천간에 갑목을 띄우고 있으면 나무에 꽃을 피운 형상으로 공부로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을목이 천간에 위치하고 있다면 을목은 습목으로 불이 약하여 불을 피우기가 힘든 모습을 의미하며 공부를 잘 하더라도 학업을 계속 이어가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부모 또는 배우자로 인해 고난이 많을 수 있습니다. 

 

2) 병화(丙), 정화(丁)

사주원국 일주 월주
병(丙)/정(丁) 정(丁) X
X X 묘(卯)
비겁 X 병(病)/인수격

천간의 다른 자리에 병화(丙)가 위치하고 있다면 화려한 태양에 정화의 불빛이 가려지는 모습입니다. 본인 보다 능력이 많은 경쟁자로 아무리 열심히 해도 드러나기 어려울 수 있고 부모님의 관심도 형제가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묘월의 정화일간이 사주 원국의 다른 자리에 정화를 또 두었다면 이는 하늘의 별이 반짝이는 모습이 됩니다. 겁재인 병화와는 달리 정화 비견은 길한 영향력을 끼치며 역마에 또 역마를 두는 것이라 활동성이 아주 강한 모습을 보입니다. 반면 비견과 재성이 함께 있는 경우에는 재물이 탈재될 위험이 있으니 조심하여야 합니다. 

 

 

 

 

3) 무토(戊), 기토(己)

사주원국 일주 월주
무(戊),기(己) 정(丁) X
X X 묘(卯)
식상 X 병(病)/인수격

사주원국에 무토 또는 기토가 있으면 목생화→화생토의 흐름으로 흘러 식상의 활동이 아주 활발해집니다. 하지만 무토와 계수 또는 임수가 함께 동조하고 있다면 자식을 낳고 나서 득자부별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주 원국에 기토(己)를 두었다면 기토가 묘(卯)에 병(病)으로 놓이기 때문에 아주 부지런하여 스스로 자수성가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4) 경금(庚), 신금(辛)

사주원국 일주 월주
경(庚)/신(辛) 정(丁) X
X X 묘(卯)
재성  X 병(病)/인수격

천간의 다른 자리에 경금(庚) 또는 신금(辛)이 위치한 경우 갑·을목이 함께 있으면 재성으로 인성이 망가지거나 인성의 재물을 크게 손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신금(辛)이 위치하고 있으면 신묘는 절(絶)지에 놓여 재물의 유지가 어렵거나 잦은 이직 등으로 삶의 우여곡절이 많을 수 있습니다.  묘(卯) 월의 정화 일간인 남성의 경우는 재성이 절(絶)에 놓여 배우자와 부부해로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5) 임수(壬), 계수(癸)

사주원국  일주 월주
임(壬)/계(癸) 정(丁) X
X X 묘(卯)
관(官)  X 병(病)/인수격

묘(卯)월의 정화 일간인 여성분이 사주 원국의 다른 자리에 임수(壬)가 위치하고 있으면 관(官)이 '사(死)'지에 놓여 남편이 병약할 수 있습니다. 반면 편관에 해당하는 계수(癸)가 있는 경우 편관이 '생'을 받고 있어 남편의 성정이 너무 강하여 정화 일간 여성분이 오히려 병약해 지거나 큰 사건사고를 겪을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반응형

'명리(命理) > 십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묘월(3월) 기토일간  (0) 2021.03.28
묘월(3月) 무토일간 특성  (0) 2021.03.28
묘월 3월 병화일간 특성  (0) 2021.03.23
묘월 3월 을목일간 특성  (0) 2021.02.26
양인격 묘월 3월 갑목일간 특성  (0) 2021.02.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