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命理)/십간론

묘월 3월 병화일간 특성

by Antenna Saju 2021. 3. 23.
반응형

묘월의 병화 일간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묘(卯) 월은 양력 3월 5일(6일)에서 4월 4일(5일) 사이로 인(寅) 월이 하늘의 봄이라면 묘월은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경칩과 춘분을 포함하고 있는 땅의 봄에 해당하는 시기입니다. 묘(卯)는 지장간이 갑목(甲)과 을목(乙)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묘월은 목(木)기가 왕성한 달입니다. 

 

 

1. 병화(丙)의 특징

병화는 음행 오행으로 양화(陽火)에 해당합니다. 양간에 해당하는 갑목(甲), 병화(丙), 무토(戊), 경금(庚), 임수(壬) 중에서도 가장 강한 양(陽)입니다. 병화는 하늘의 태양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태양처럼 어두운 것을 밝히고 세상의 모든 만물을 공평하게 비추는 성질을 지녔습니다. 

 

태양의 밝음처럼 병화 일간 사람들은 늘 밝고 명랑한 성향을 지녔습니다. 주목받는 것을 좋아하여 화려하게 입고 꾸미는 것을 좋아하는 면도 있습니다. 반면 병화 일간은 밝고 명량하지만 자신의 속마음을 잘 숨기지 못하고 할 말을 둘러서 하지 못하고 직설적으로 하고 다혈질적인 면이 있습니다. 또한 추진력이 빨라 무슨 일이든 속전속결로 처리하기 때문에 사회생활에서는 유리할 수도 있지만 반면 일에 실수가 생기고 이로 인해 사건·사고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런 연유로 신체 체력이 남들보다 빨리 고갈될 수 있어 건강에 무리가 생길 수 있습니다. 

 

 

 

2. 묘(卯) 월의 병화(丙) 

묘(卯) 월은 봄의 기운이 가장 왕성한 시기이고 병화는 꽃의 물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묘월의 병화는 벚꽃 같이 봄에 꽃이 아주 화려하게 핀 모습입니다. 특히, 묘(卯) 월은 병화 기준에서 목욕(沐浴)에 해당하여 남녀 모두 미남미녀가 많고 사회성에 목욕(沐浴)을 두었기 때문에 사회활동에서 인기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일주 월주
병(丙) x
x 묘(卯)
- 목욕(沐浴)  /  인수격

 

목욕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더 자세한 설명을 보실 수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도화살과 비슷한 십이운성 목욕

이번편은 십이운성 중 목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을 보시기 전에 십이운성 기본 개념에 대한 설명을 먼저 보시고 오는 것도 좋겠습니다. 보이지 않는 것을 해석하는 십이운성, 십이운

forthehappylife.tistory.com

3. 묘월의 병화 일간과 다른 글자들의 관계

1) 갑목(甲), 을목(乙)

사주원국 일주 월주
갑(甲)/을(乙) 병(丙)  X
X X 묘(卯)
인성 X 목욕/인수격

묘월의 병화 일간이고 사주 원국 천간의 다른 자리에 갑·을목을 두었다면 인수 격에 해당합니다.  봄에 큰 나무(갑목) 또는 화초(을목)가 아주 화창하게 자라는 모습으로 기품이 있는 성품이고 공부로 성공할 수 있는 자질을 지녔습니다. 부모님의 덕이 많은데 특히 모친의 덕이 많은 사람들입니다.

 

2) 병화(丙), 정화(丁)

사주원국  일주 월주 
병(丙)/정(丁)  병(丙) X
X X 묘(卯)
비겁 X 목욕 

병화는 하늘의 태양을 의미하여 사주 원국에 한 개만 있는 것이 좋은데 병화가 두 개가 되면 오히려 역효과가 생깁니다. 인성인 묘(卯)가 목생화로 생을 나무 많이 하여 모친의 건강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화 또한 하늘에 태양이 떠 있는데 달도 같이 떠 있는 현상으로 나의 경쟁자로 인해 본인의 빛이 가려지게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특히 형제와 사이가 나빠질 수 있습니다. 

 

 

 

 

3) 무토(戊), 기토(己)

사주원국 일주 월주
무(戊)/기(己) 병(丙) X
x X 묘(卯)
식상 X 목욕

사주원국 천간의 다른 자리에 무토(戊) 식신을 두었다면 공부한 것을 식신으로 쓰는 일인 교육분야의 일을 하면 좋고 기토가 있다면 굉장히 부지런하게 일하여 부를 이룰 수 있는 사람입니다. 다만 말이 지나쳐 남을 상처 주거나 지나친 주접으로 오히려 기품이 깎일 수 있으니 늘 언행을 주의하셔야 합니다. 

 

4) 경금(庚), 신금(辛)

사주원국 일주 월주 
경(庚)/신(辛) 병(丙) X
X X 묘(卯)
재성 X 목욕/인수격 

묘월의 병화 일간 사주 원국에 경금 또는 신금이 위치하고 있으면 공부보다 돈에 관심을 많이 가질 수 있습니다. 자격증, 문서, 부동산 등 인성으로 인해 재물을 취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하고 소탐대실할 우려가 있으니 주의하여야 합니다. 

 

 

 

 

5) 임수(壬), 계수(癸)

사주원국 일주 월주
임(壬)/계(癸 병(丙) X
X X 묘(卯)
관(官) X 목욕/인수격

천간의 다른 자리에 임수를 두고 임수가 뿌리까지 튼튼하게 내리고 있다면 재물과 명예를 모두 취할 수 있게 됩니다. 임수 대신 계수가 있는 경우에는 계수와 함께 갑(甲)·을(乙)이 함께 있어 수생목 → 목생화의 흐름이 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명리(命理) > 십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묘월(3월) 기토일간  (0) 2021.03.28
묘월(3月) 무토일간 특성  (0) 2021.03.28
3월 묘월의 정화일간  (0) 2021.03.24
묘월 3월 을목일간 특성  (0) 2021.02.26
양인격 묘월 3월 갑목일간 특성  (0) 2021.02.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