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묘(卯)월의 경금일간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묘(卯)월
묘월은 양력 3월5일 또는 6일 부터 4월 4일 또는 5일까지로 땅과 산이 신록으로 가득한 달입니다. 24절기중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는 경칩(3월5일)과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춘분이 있는 묘월은 인묘진월중 봄의 한 가운에 있는 시기입니다. 인(寅)월이 하늘의 봄이라면 묘(卯)월은 땅의 봄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묘(卯)의 지장간
묘(卯)월은 지장간이 갑목(甲)과 을목(乙)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목(木)의 성향이 아주 강한 달입니다. 3월 5일(6일)부터 3월 14일까지는 갑목의 시기이고 3월15일 부터 4월4일(5일) 까지는 을목이 적용되는 시기입니다.
3. 묘(卯)월의 경금(庚)
구분 | 일주 | 월주 |
천간 | 경(庚) | X |
지지 | X | 묘(卯) |
지장간 | - | 갑(甲)/을(乙) |
십이운성 | - | 태(胎) |
(1) 묘월의 경금은 십이운성이 '태(胎)'에 놓이지만 묘(卯) 중 을목(乙)과 을경합이 되기 때문에 '태(胎)'지에 놓이는 다른 것에 비해 뿌리가 약하지 않습니다. 십이운성 '태(胎)'에 관한 자세한 설명을 읽어보셔도 좋겠습니다.
새로운 아이디어의 마르지 않는 샘물 십이운성 태
이번편에서는 십이운성 태(胎)의 의미와 작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십이운성 태(胎)란? 태(胎)란 사전적 의미로 「아이를 배다」라는 뜻으로 정자가 착상된 상태, 무(無)에서 유(有)가 생
forthehappylife.tistory.com
(2) 묘월의 경금일간은 물상적으로는 묘월의 나무가 아직 연약한 묘목의 단계인데 도끼역할을 하는 경금이 나무의 뿌리를 베어버리는 모습입니다. 또는 아직 계절은 봄인데 수확하려고 하는 모습이기도 하여 묘월의 경금일간은 성격이 급한 편입니다.
(3) 묘(卯)는 경금일간 기준에서는 재성에 해당합니다. 재성이 십이운성 '태'라 재물을 많들어내는 능력이 좋은데 재물손재가 되는 경향도 잦으니 재물탈재가 되지 않도록 돈관리를 잘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4. 묘(卯)월의 경금일간과 다른 글자들과의 관계
(1) 갑목(甲), 을목(乙)
구분 | 사주원국 | 일주 | 월주 |
천간 | 갑(甲)/을(乙) | 경(庚) | X |
지지 | X | X | 묘(卯) |
십신/십이운성 | 재성 | - | 태(胎) |
묘월의 경금일간이 천간의 다른 자리에 갑목(甲)을 두면 봄 나무를 자르는 모습이라 재물복은 있으나 명예를 얻기는 어렵습니다. 이런 경우 정화(丁)가 함께 동조하면 갑목이 정화를 목생화하고 정화가 경금을 제련하는 흐름이 되어 부와 명예를 모두 취할 수 있게 됩니다.
천간의 다른 자리에 을목(乙)을 두면 경금와 을경합을 하게 되어 재물복이 많은 사주가 됩니다. 또한 이런 경우 손재주가 좋아 엔지니어 분야로 진출하면 길할 수 있습니다.
(2) 병화(丙), 정화(丁)
구분 | 사주원국 | 일주 | 월주 |
천간 | 병(丙)/정(丁) | 경(庚) | X |
지지 | X | X | 묘(卯) |
십신/십이운성 | 관(官) | - | 태(胎) |
병화(丙)가 빛(태양)이라면 정화는 열을 의미하여 경금을 제련하기 위해서는 정화같은 불이 필요합니다. 묘월의 경금일간이 천간의 다른 자리에 병화(丙)와 동조하고 있다면 경금을 제련하기위해서는 마치 돋보기로 빛을 비추어 불을 내야하는것처럼 부단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정화(丁)가 동조하고 있는 경우 정화는 정관에 해당하여 직장생활을 성실히하여 재물을 모으는 사람이 될 수 있고 갑목(甲)이 함께 있으면 큰 부를 취할 수 있는 사주입니다.
(3) 무토(戊), 기토(己)
구분 | 사주원국 | 일주 | 월주 |
천간 | 무(戊)/기(己) | 경(庚) | X |
지지 | X | X | 묘(卯) |
십신/십이운성 | 인성 | - | 태(胎) |
묘(卯)월의 경금일간이 천간의 다른 자리에 무토(戊)가 있으면 토에 경금이 덮혀버릴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갑(甲)이 있으면 목극토의 흐름으로 재격폐인의 모습이 됩니다. 머리도 좋고 재물을 취하는데에도 많은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입니다.
천간에 기토(己)가 있는 경우에는 재성에 해당하는 갑목과 갑기합(甲己合)이 되어 재물을 못쓰게 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인성으로 인해 재물에 탈재가 되는 모습으로 보증이나 차용증 등을 잘못 작성하여 재물에 손해를 볼 수 있으니 계약서를 작성해야 하는 경우에는 늘 주의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4) 경금(庚), 신금(辛)
구분 | 사주원국 | 일주 | 월주 |
천간 | 경(庚)/신(辛) | 경(庚) | X |
지지 | X | X | 묘(卯) |
십신/십이운성 | 비겁 | - | 태(胎) |
묘(卯)월의 경금일간이 천간의 다른 자리에 또 경금이 있으면 정화(丁)만으로는 경경(庚庚)인 금을 제련하는데 힘이 약하여 이런 경우에는 오히려 재물을 취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신(辛)이 동조하는 경우에도 용신인 목(木)을 치는 모습이라 인덕이 없고 재물을 벌기가 힘들 수 있습니다.
(5) 임수(壬), 계수(癸)
구분 | 사주원국 | 일주 | 월주 |
천간 | 임(壬)/계(癸) | 경(庚) | X |
지지 | X | X | 묘(卯) |
십신/십이운성 | 식상 | - | 태(胎) |
묘(卯)월의 경금일간이 임수(壬)를 보면 봄의 계곡에 물이 흐르는 모습으로 머리도 총명하고 사회성이 좋은 사람의 모습입니다. 또한 임수가 수생목(水生木)의 흐름으로 흘러 재성의 운도 좋습니다. 하지만 정화(丁)가 동조하거나 운에서 정화가 오면 정임합목(丁壬合木)이 되어 버려 재물의 흐름이 막힐 수 있고 말과 행동으로 구설수에 오를 수 있으니 언행에 주의를 하여야 합니다.
계수(癸)가 있는 경우에는 계수가 빗물에 해당하여 정화(丁)를 꺼버릴 수 있으니 갑(甲)·을(乙)목이 함께 동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목(木)이 있으면 수생목 → 목생화의 흐름이 되어 경금을 제련하는 불로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명리(命理) > 십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묘월(3월) 임수일간 특성 (1) | 2021.03.31 |
---|---|
묘월 (3월) 신금일간 특성 (0) | 2021.03.30 |
묘월(3월) 기토일간 (0) | 2021.03.28 |
묘월(3月) 무토일간 특성 (0) | 2021.03.28 |
3월 묘월의 정화일간 (0) | 2021.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