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卯) 월의 신금(辛) 일간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묘(卯)월
묘월은 양력 경칩인 3월 5일(6일)부터 춘분이 끝나는 4월 4일(5일) 까지로 땅과 산이 신록으로 가득한 달입니다. 인(寅) 월은 공기가 따뜻해지는 하늘의 봄이라면 묘월은 땅이 녹아 농사를 시작할 수 있는 시기로 땅의 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묘(卯)의 지장간은 갑목(甲)과 을목(乙)으로만 이루어져 묘월은 목(木)기가 아주 강한 달입니다. 갑목은 3월 5일(6일)부터 3월 14일까지 해당하고 을목은 3월 15일부터 4월 4일(5일)까지 적용되는 기간입니다.
2. 묘(卯) 월의 신금(辛) 특징
경금(庚)이 바위 덩어리 또는 철 덩어리 같이 크고 단단한 물건이라면 신금(辛)은 보석이나 수술도구, 공구, 칼 같은 세밀하게 가공된 금속으로 음(陰)의 금(金)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신금 일간은 단단하면서도 날카롭고 예리한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묘(卯) 월의 신금은 묘목이 신금 기준으로는 재성으로 재격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묘가 '절(絶)'에 놓여 재물을 크게 벌었다가도 크게 잃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고 다른 지지에 뿌리가 없다면 갑자기 건강이 나빠질 수 있으니 늘 재물관리·건강관리가 필요합니다.
3. 묘(卯) 월의 신금일간과 다른 글자들과의 관계
(1) 갑목(甲), 을목(乙)
구분 | 사주원국 | 일주 | 월주 |
천간 | 갑(甲)/을(乙) | 신(辛) | X |
지지 | X | X | 묘(卯) |
십신/십이운성 | 재성 | X | 절(絶)/재격 |
묘(卯)월의 신금(辛) 일간이 천간에 갑목을 둔 경우 재성을 두었지만 갑목은 묘에 '왕(王)'으로 놓입니다. 이 경우 신금이 금극목을 제대로 하여 재성을 취하기 위해서는 지지에 신금의 뿌리가 필요합니다. 천간에 겁재에 해당하는 경금(庚)이 동조하고 있어 경금이 금극목을 하는 경우 재물을 크게 벌 수 있지만 겁재로 인한 탈재의 영향도 어느 정도 있을 수 있습니다.
천간에 을목(乙)과 경금이 동조하면 을목은 경금과 을경합을 하게 되어 겁재가 재물을 모두 가지고 가게 될 수 있으나 갑목도 있게 되면 경금이 갑목을 금극목을 하는 흐름이 될 수 있습니다.
(2) 병화(丙), 정화(丁)
구분 | 사주원국 | 일주 | 월주 |
천간 | 병(丙)/정(丁) | 신(辛) | X |
지지 | X | X | 묘(卯) |
십신/십이운성 | 관(官) | X | 절(絶)/재격 |
병화(丙)는 신금 일간에게 정관, 정화(丁)는 신금일간에게 편관(칠살)입니다. 병화가 천간에 오면 신금과 병신합을 하고 병화가 묘(卯)에 십이운성이 '목욕'에 해당합니다. 이런 흐름이면 이성에 인기가 많으므로 이성을 상대하는 직업으로 진출하면 좋습니다.
정화가 천간에 있고 신금이 지지에 뿌리가 없으면 건강이 약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운에서 재성에 해당하는 갑목운이 오면 갑목이 정화를 목생화를 하므로 정화의 힘이 더 세져서 신금 일간이 크게 다치거나 큰 병에 걸릴 수 있으니 조심하여야 합니다. 이럴 때에는 인성인 토(土)를 활용하여 화생토 → 토생금의 흐름으로 하는 것이 좋으니 학업을 계속하거나 성인이 되어서도 책을 가까이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 무토(戊), 기토(己)
구분 | 사주원국 | 일주 | 월주 |
천간 | 무(戊)/기(己) | 신(辛) | X |
지지 | X | X | 묘(卯) |
십신/십이운성 | 인성 | X | 절(絶)/재격 |
정인인 무토(戊)는 신금을 토생금을 하지만 무토는 워낙 큰 산이라 신금이 오히려 매금 되어 버리는 일이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갑목(甲)이 함께 동조하여 목극토를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사주 원국에 무토와 갑목이 함께 동조하는 사주라면 부와 명예를 모두 가지는 사주가 됩니다.
편인에 해당하는 기토(己)는 무토보다는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기토 역시 꺼리는데 을목(乙)이 함께 동조하고 있으면 '재격패인'으로 크게 발복 하게 됩니다. 만약 이 경우 을목 대신 갑목이 동조하고 있으면 편인인 기토와 갑기합을 해서 오히려 인성을 사용하지 못하게 됩니다.
(4) 경금(庚), 신금(辛)
구분 | 사주원국 | 일주 | 월주 |
천간 | 경(庚)/신(辛) | 신(辛) | X |
지지 | X | X | 묘(卯) |
십신/십이운성 | 비겁 | X | 절(絶)/재격 |
경금(庚)은 신금에게 겁재에 해당합니다. 사주 원국에 갑목이 함께 동조하고 있는 경우에는 경금의 도움으로 재물을 취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겁재에게 어느 정도 재물의 탈재되는 것은 감안하여야 합니다.
비견인 신(辛)이 동조하면 신신(辛辛) 병존이 되는데 이 경우 날카로운 것이 나란히 있으니 숙살의 기운이 더욱 강해집니다. 지지에 뿌리가 약하면 기신운일 때 건강이 나빠질 수 있으니 늘 건강관리가 필요합니다. 신신 병존이고 천간에 병화가 동조하고 있거나 운에서 병화가 오면 비견이 나의 관과 합을 해버려 관(官)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버립니다.
(5) 임수(壬), 계수(癸)
구분 | 사주원국 | 일주 | 월주 |
천간 | 임(壬)/계(癸) | 신(辛) | X |
지지 | X | X | 묘(卯) |
십신/십이운성 | 식상 | X | 절(絶)/재격 |
묘월의 신금 일간은 천간에 수(水)가 오면 금(金)을 씻어주는 모습이 되어 가장 길합니다. 특히, 빗물인 계수(癸) 보다도 고인물을 의미하는 임수(壬)가 더 좋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상관인 임수로 인해 일간이 설기가 많이 되니 지지에 뿌리가 없으면 건강이 허약해질 수 있어 건강관리가 필요합니다.
계수(癸)는 빗물이라 오히려 신금을 녹슬게 만들어버리는 물상이라 오히려 본인의 재능 발휘를 제대로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명리(命理) > 십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월 4월에 태어난 갑목일간 갑목일주 특징 (0) | 2021.04.20 |
---|---|
묘월(3월) 임수일간 특성 (1) | 2021.03.31 |
묘월 (3월) 경금일간 특성 (0) | 2021.03.29 |
묘월(3월) 기토일간 (0) | 2021.03.28 |
묘월(3月) 무토일간 특성 (0) | 2021.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