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命理)/십간론

진월 4월에 태어난 신금일간 신금일주 특징

by Antenna Saju 2021. 4. 29.
반응형

진월에 태어난 신금 일간 특징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진월의 특징

진월은 청명이 시작되는 4월 4일부터 입하가 시작하기 전날인 5월 4일까지입니다. 

 

˙청명(淸明) : 4월4일, 오후 10시 35분

˙곡우(穀雨) : 4월 20일, 오전 5시 33분 

 

'청명'부터 논농사의 준비작업인 논밭을 고르는 가래질이 시작하고, 곡우는 '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한다'는 의미로 봄 농사에 중요한 비가 내리는 시기입니다. 이처럼 진월은 땅을 일구어 모내기를 하고 본격적으로 농사일에 바쁜 달이라 진월에 태어난 사람들은 일간에 상관없이 대개 부지런하고 근면성실한 성향이 있습니다.

 

진월은 아래에서 보시는 것처럼 '초목이 싹을 틔워 위로 자란다'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래서 농번기인 4월을 '진(辰)'달이라고 부르는 것 같습니다.

끌 예(曳) + 두 이(二) + 될 화(化) + 비수 비(匕) 

진월은 인묘진(寅卯辰) 방국에 해당하는 달 중에 마지막 달로 목(木)에 해당하는 달이지만 여름의 계절인 사오미(巳午未)로 넘어가는 과정 중에 있는 달이라 화(火)의 기운으로 강하게 뻗어나가려는 성질도 있습니다. 

 

 

2. 진토 지장간 구성

진토의 지장간은 생명체를 의미하는 을목(乙),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인 계수(癸), 생명이 자랄 수 있는 큰 땅인 무토(戊)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생명이 자라는 땅에 비가 내리는 모습의 진토(辰)는 진술축미(辰戌丑未) 중에서 가장 생명을 잘 키울 수 있는 땅입니다. 또한 지장간이 여러 개의 구성요소로 되어 있는데 이는 곧 여러 가지 재능이 많다는 뜻도 되어 진월 생들은 다양한 재주를 겸비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진월 동안 각 지장간이 해당하는 날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초기  :  을목(乙) 4월 4일 ~ 4월 12일

˙ 중기  :  계수(癸) 4월 12일 ~ 4월 14일

˙ 본기  :  무토(戊) 4월 15일 ~ 4월 30일

 

 

3. 진(辰) 월의 신금 일간 특징 

구분 시주 일주 월주
천간 x 신금(辛) x
지지 x x 진(辰)
(乙, 癸, 戊)
x x x

신금(辛)은 가공된 바늘, 가위처럼 물상처럼 아주 단단하고 세밀한 금속 또는 다이아몬드 같은 보석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늘 본인이 빛나는 것을 좋아하고 본인이 세상에서 가장 값진 물건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자존심이 강하고 잘난 척을 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신을 빛나게 닦아줄 물을 가장 반기는데 수(水) 중에서도 계수(癸) 보다 임수(壬)가 오는 것이 더 좋습니다. 계수는 빗물이라 신금이 녹이 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토생금(土生金)이라 일반적으로 토는 금을 생 하지만진월의 신금 일간은 사주 구성에 따라 토(土)가 너무 왕(旺)하면 신금이 오히려 매금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신금의 일간이 강하면 봄의 칼이라 봄에 자라는 새싹을 잘라버리는 모습이라 경금 일간처럼 성정이 좀 비정할 수 있습니다.

 

 

4. 진(辰) 월의 신금일간과 다른 글자들과의 관계

(1) 천간에서 갑목(甲) 또는 을목(乙)을 보는 경우

구분 시주 일주 월주
천간 을(乙) 신(辛) 갑(甲)
지지 x x 진(辰)
x x 재격

진(辰)월의 신금 일간이 천간에 갑목(甲) 또는 을목(乙) 보면 재격에 해당합니다. 신금이 목을 금극목하게 되지만 진월에는 갑목(甲)의 가지를 쳐주는 것이 꽃을 더 크게하고 더 큰 열매를 맺게 하는데 도움이 되어 재물을 많이 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을목은 연약한 화초인데 낫으로 베어버리니 돈만 알거나 쓸데없는 일을 벌이고 다니고 아주 비정한 성격일 수 있습니다. 

 

(2) 천간에서 병화(丙) 또는 정화(丁)를 보는 경우

구분 시주 일주 월주
천간 정(丁) 신(辛) 병(丙) 
지지 x x 진(辰)
x x x

진월의 신금 일간이 병화(丙)를 보면 병신합이 됩니다. 이는 곧 남녀간의 합을 의미하여 남녀 모두 이성에게 관심을 많이 보입니다. 정화(丁)를 보는 경우에는 화극금이 강하게 일어나 신금이 녹아버릴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임수(壬)가 동조하면 칠살이 정임합으로 묶이게 되니 길합니다. 

 

 

(3) 천간에서 무토(戊) 또는 기토(己)를 보는 경우

구분 시주 일주 월주
천간 기(己) 신(辛) 무(戊)
지지 x x 진(辰)
x x 인수격

진월의 신금일간이 천간에서 무토(戊)를 보면 토(土)가 너무 왕 해져 신금이 매금 될 수 있습니다. 산속에 묻힌 보석이니 별 볼 일 없거나 사건˙사고로 본인의 건강이 아주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반면 기토(己)는 신금을 토생금 할 수 있는 땅으로 학업으로 성공할 수 있습니다. 무토와 기토 모두 인수 격으로 토(土)가 인수 격이니 부동산 관련 공부나 투자를 하면 길합니다. 

 

(4) 천간에서 경금(庚) 또는 신금(辛)을 보는 경우

구분 시주 일주 월주
천간 신(辛) 신(辛) 경(庚)
지지 x x 진(辰)
x x x

진월의 신금 일간이 천간에서 겁재와 비견인 경금(庚)˙신금(辛)을 보면 매정한 성향이  더 강해지는데 이런 경우 금생수로 식상을 사용하여 설기를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조후가 너무 차가워질 수 있어 화(火)기의 보완이 필요합니다. 

 

 

(5) 천간에서 임수(壬) 또는 계수(癸)를 보는 경우

구분 시주 일주 월주
천간 계(癸) 신(辛) 임(壬)
지지 x x x
x x x

진월의 신금 일간이 임수(壬)를 보면 다이아몬드를 물에 씻는 모습으로 사회적으로 성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거만하고 너무 깔끔 떠는 성격이니 본인의 평판 관리도 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계수(癸)를 보면 보석에 빗물이 내리는 모습으로 비를 맞고 녹슬 수 있습니다. 조후가 차가워질 수 있으니  경금(庚)˙신금(辛)과 마찬가지로 화(火)기의 보완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