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辰) 월에 태어난 무토일간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진(辰)월 특징
진(辰) 월은 4월 5~6일 무렵 '청명(淸明)'과 함께 시작합니다. 논 농사는 청명 무렵부터 논 농사의 준비 작업인 논 밭의 흙을 고르는 가래질을 시작합니다. 그리고 4월 20일경 24절기의 여섯 번째 절기인 곡우가 시작되는데 곡우는 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으로 본격적으로 농사철에 접어드는 시기로 모내기로 바쁜철입니다. 그래서 일간에 상관없이 진월에 태어난 사람들은 부지런하고 근면성실한 성향이 있습니다.
진(辰)이라는 글자는 아래의 구성요소에서도 나타나듯이 '초목이 싹을 틔워 위로 자란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농번기를 '진(辰)'이라고 지은 것 아닌가 합니다.
끌 예(曳) + 두 이(二) + 새 을(乙) + 될 화(化) + 비수 비(匕)
진월은 인묘진(寅卯辰)의 목(木) 방에 해당하는 달 중에서 마지막 달로 목(木)에 해당하는 달이긴 하지만 여름으로 가는 사오미(巳午未)로 가는 길에 있는 달이라 화(火)의 기운으로 뻗어나가려는 성질도 있습니다.
2. 진(辰)토 지장간 구성
진토(辰)는 을목(乙), 계수(癸), 무토(戊)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초기 을목(乙)이 시작하는 시기는 4월 4일(5일)부터 9일째 되는 날인 4월 12일(13일) 까지로 전체 진토 지장간 구성에서 30% 정도 차지합니다. 중기인 계수는 을목이 끝나는 4월 12일(13일)부터 4월 14일(15일)까지이고 진토의 본기인 무토는 나머지 60%를 모두 차지합니다. 무토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높아 진토는 오행 중 토(土)에 해당하고 계수가 빗물, 을목은 작은 묘목을 의미합니다. 토(土) 중에서 진토가 좋은 물이 촉촉한 땅으로 생명을 키우기에는 아주 좋은 땅입니다.
3. 진(辰)월의 무토일간 특징
구분 | 시주 | 일주 | 월주 | 연주 |
천간 | x | 무(戊) | x | x |
지지 | x | x | 진(辰) | x |
격 | x | x | x | x |
무토(戊)는 큰 산으로 산에는 모든 생명체가 사는 곳입니다. 그래서 무토일간들은 포용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산에는 야생동물들이 생존을 위해 싸움도 일어나는 곳이라 무토는 투쟁의 성향도 있습니다. 중후하고 무게감있고 포용성이 있지만 한 번 화가 나면 무섭게 돌변하고 투쟁의 성향을 드러내기도 합니다.
진(辰)월의 무토는 봄동산에 해당하여 만물을 키우는 계절이라 사주에 가장 필요한 것이 목(木)입니다. 목이 없으면 넓은 땅에 심을 것이 없어 결실이 없는 땅이 됩니다. 하지만 사주에 목(木)이 너무 많으면 좁은 땅에 나무를 많이 심은 것이니 오히려 하는 것 없이 욕심만 많은 사주가 됩니다. 두 번째로 생명이 자라기 위해서는 물이 필요하니 계수(癸)또는 임수(壬)가 있어야 하고 세 번째로 필요한 것이 태양, 병화(丙)입니다. 특히, 갑목이면 무토의 제 구실을 다하는 것이고 갑목이 없으면 을목이라도 있는 것이 좋습니다.
4. 진(辰)월의 무토일간과 다른 글자들과의 관계
(1) 갑목(甲), 을목(乙)
구분 | 시주 | 일주 | 월주 | 년주 |
천간 | 을(乙) | 무(戊) | 갑(甲) | x |
지지 | x | x | 진(辰) | x |
격 | x | x | 편관격 | x |
진월의 무토일간이 목(木)을 보면 실록이 아름다운 푸른 산의 모습이며 나무는 결실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특히, 무토는 큰 산이니 편관이어도 갑목을 보는 것이 좋고 갑목이 없으면 을목이라도 있는 것이 좋습니다. 을목은 산에 있는 꽃으로 산새에 해당하고 산에 바람이 부는 모습이기도 합니다.
갑목을 투했는데 지지도 목(木) 국을 이루어 목(木)의 기운이 강한 사주라면 편관의 기질을 써서 명예를 가질 수 있지만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본인의 건강을 잘 챙기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병화(丙), 정화(丁)
구분 | 시주 | 일주 | 월주 | 년주 |
천간 | 정(丁) | 무(戊) | 병(丙) | x |
지지 | x | x | 진(辰) | x |
격 | x | x | - | x |
진월의 무토일간이 병화를 보는 경우 산에 태양이 뜨는 것으로 아름다운 모습이긴 하지만 목(木)이 없으면 태양만 뜬 것이니 실리가 없습니다. 이 경우에도 갑목이든 을목이 필요합니다. 정화(丁)를 보게되면 산에 불이 난 것으로 사주가 조열 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3) 무토(戊), 기토(己)
구분 | 시주 | 일주 | 월주 | 년주 |
천간 | 기(己) | 무(戊) | 무(戊) | x |
지지 | x | x | 진(辰) | x |
격 | x | x | - | x |
진월의 무토일간이 비견인 무토(戊)를 보면 큰 산에 또 큰 산이라 첩첩산중이 되어 외로움과 고독을 의미합니다.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다 보니 결혼 생활이 어려울 수 있고 여성의 사주라면 남편에 해당하는 갑목을 비견과 나누어야 하니 질투가 많은 성향으로 발현될 수 있습니다. 기토(己)를 보는 것은 기토 입장에서는 큰 산에 작은 땅이 가리는 모습입니다. 무슨일이단 잘 풀리지 않고 경쟁상대로 인해 본인이 많이 가리게 됩니다.
비견이 왕(旺)하더라도 경금(庚) 또는 신금(辛)이 동조하게 되면 토생금으로 식상생재가 되어 오히려 비겁의 도움으로 재물을 많이 취할 수 있는 사주가 됩니다. 그래서 비겁이 왕한 사주라면 식상이 없더라도 무조건 활동적으로 부지런하게 식상을 쓰는 일을 많이 하는 것이 좋습니다.
(4) 경금(庚), 신금(辛)
구분 | 시주 | 일주 | 월주 | 년주 |
천간 | 신(辛) | 무(戊) | 경(庚) | x |
지지 | x | x | 진(辰) | x |
격 | x | x | - | x |
진월의 무토일간이 경금(庚)을 보면 바위산 또는 광산의 모습입니다. 경금은 달빛으로도 비유되어 왕후장상이 많이 나오는 길한 사주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식신을 잘 써서 자신의 부지런함으로 성공할 수 있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금(金) 식신의 기운이 강하니 말조심이 필요합니다. 신금(辛)을 보는 것도 산에 금이 묻힌 금광의 모습입니다. 땅이 묻힌 보석을 캐기 위해 상관생재로 큰 부를 이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사주에 목(木)과 함께 경금또는 신금이 동조하면 금극목을 하니 관(官)이 흔들릴 위험이 큽니다. 직장인들이 말로 구설수에 오르거나 여성의 경우 배우자에게 바가지를 많이 긁을 수 있어 배우자와 관계에 불화를 겪을 수 있습니다.
(5) 임수(壬), 계수(癸)
구분 | 시주 | 일주 | 월주 | 년주 |
천간 | 계(癸) | 무(戊) | 임(壬) | x |
지지 | x | x | 진(辰) | x |
격 | x | x | 재격 | x |
진월의 무토가 재성에 해당하는 임수(壬)·계수(癸)를 띄우면 재격으로 약간의 '귀(貴)'는 있는 사주입니다. 계수(癸)가 있으면 계수는 하늘에서 내리는 비라 쉽게 재성을 취할 수 있고 임수(壬)가 있으면 열심히 노력하여 돈을 버는 사람입니다.
'명리(命理) > 십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월 4월에 태어난 경금일간 경금일주 특징 (0) | 2021.04.28 |
---|---|
진월 4월에 태어난 기토일간 기토일주 특징 (0) | 2021.04.25 |
진월 4월에 태어난 정화일간 정화일주 특징 (0) | 2021.04.23 |
진월 4월에 태어난 병화일간 병화일주 특징 (0) | 2021.04.22 |
진월 4월에 태어난 을목일간 을목일주 특징 (0) | 2021.04.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