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命理)/명리기초이론

2021 24절기와 절입시간

by Antenna Saju 2021. 2. 12.
반응형

24 절기 표를 확인하여 사주 명식 세우는 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사주 명식에서 중요한 것은 월주와 시주를 정하는 것인데 이때 기준으로 삼는 것이 24절기입니다. 태어난 해를 의미하는 년주도 몇 년도에 태어났다고 해서 무조건 그해의 육십갑자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24절기 중 입춘이 지났는지 여부에 따라 띠의 기준이 결정됩니다. 예를들어 양력으로 2021년 1월 20일생이라면 새해를 지났으니 신축년(辛丑年)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아직 입춘(2021년 2월 4일)이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경자년(庚子年)인 것입니다.  

 

 

 

1. 24절기의 의미

24절기란 태양이 한 바퀴 도는 기간 일 년을 30도씩 나누어 24절기로 표기한 것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태양년을 태양의 황경(黃經)에 따라 24 등분하여 계절을 자세히 나눈 것입니다. 태양의 춘분점을 기점으로 황도를 움직인 각도로 15º 간격으로 24절기를 구분합니다.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만들었기 대문에 태양력과 관계있으며 24절기 날짜는 매년 거의 일정합니다. 조선시대에는 음력을 사용하였는데 음력은 기후와 크게 차이가 나서 농경사회와는 잘 맞지 않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농경사회였던 동아시아에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태양력을 기준으로 한 24절기를 만들었습니다.

 

 

 

2. 24절기 날짜와 절입시간 


24절기 날짜 (양력)
절입시간  황도
인(寅)월 입춘 2월3일 23시59분 315º
우수 2월18일 19시44분 330º
묘(卯)월 경칩 3월5일 17시54분 345º
춘분 3월20일 18시37분 0º
진(辰) 청명 4월4일 22시35분 15º
곡우 4월20일 5시33분 30º
사(巳) 입하 5월5일 15시47분 45º
소만 5월21일 4시37분 60º
오(午) 망종 6월5일 19시52분 75º
하지 6월21일 12시32분 90º
미(未) 소서 7월7일 6시5분 105º
대서 7월22일 23시26분 120º
신(申) 입추 8월7일 15시54분 135º
처서 8월23일 6시35분 150º
유(酉)월 백로 9월7일 18시53분 165º
추분 9월23일 4시21분 180º
술(戌)월 한로 10월8일 10시39분 195º
상강 10월23일 13시51분 210º
해(亥)월 입동 11월7일 13시59분 225º
소설 11월22일 11시34분 240º
자(子)월 대설 12월7일 6시57분 255º
동지 12월22일 0:59분 270º
 축(丑)월 소한 1월5일 12시23분 285º
대한 1월20일 5시40분 300º

 

24절기<출처: 위키백과>

3. 각 절기의 의미 

1) 봄의 절기

입춘(入春)은 봄이 시작하는 날이며 한 해가 시작되는 때입니다. 농경시대에서는 대문 앞에'입춘대길'이라고 적어두고 농사의 풍년을 위해 준비하였습니다. 

우수(雨水)는 추운 겨울을 지나 봄을 맞이 한다는 뜻으로 봄비가 내려 눈이 녹아 물이 되는 시기입니다. 

경칩(驚蟄)은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의미로 만물이 생동하는 시기입니다. 나무들이 새싹을 틔우기 위해 물과 양분을 흡수하기 시작합니다. '우수와 경칩이 끝나면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말처럼 봄의 따스함을 느낄 수 있는 시기입니다. 

춘분(春分)은 낮와 밤의 시간이 12시간으로 같아졌다가 낮이 길어지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겨울에서 봄으로 전환되는 때로 봄보리를 갈고 이른 봄싹이 트기 전 땅을 갈아엎은 춘경을 하는 때입니다. 

청명(淸明)은 하늘이 점점 맑아진다는 의미이며 봄 농사를 준비하는 시기입니다. 청명에 날씨가 좋으면 그 해 농사가 풍년이 되고 날씨가 좋지 않으면 흉년이 된다고 점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곡우(穀雨)는 한 해의 농사를 풍요롭게 해 준다는 의미이며 농사 비가 내리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못자리를 마련하는 등 본격적으로 농사를 시작합니다. 

 

2) 여름의 절기

①입하(立夏)는 여름이 시작하는 절기면서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라는 의미로 '맥량'이라고도 합니다. 

②소만(小滿)은 햇볕이 풍부해 만물이 성장하고 가득 찬다는 의미로 본격적으로 농사짓는 시기입니다. 이 무렵부터 모내기에 바빠지고 보리가 익어가기 시작합니다. 

③망종(亡種)이란 벼 같이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종자를 뿌려야 할 시기라는 의미로 모내기와 보리 베기를 시작하는 때입니다.

④하지(夏至)는 일년 중 낮 시간이 가장 긴 시기로 태양이 가장 높이 뜨는 때입니다.

⑤소서(小署)는 여름의 더위가 시작하는 날로 장마가 시작하는 때입니다. 

⑥대서(大暑)는 장마가 끝나고 일 년 중 가장 더운 시기입니다. 

 

 

 

 

3) 가을의 절기 

①입추(入秋)는 가을이 시작하는 시기로 더위가 수그러들고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②처서(處暑)는 더위가 끝난다는 의미로 아침과 저녁 날씨의 일교차가 커지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③백로(白露)는 밤의 온도가 내려가 풀잎에 이슬이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④추분(秋分)은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는 때이며 추분을 기준으로 밤의 시간이 길어집니다.

⑤한로(寒露)는 단품이 짙어지면 기온이 더 내려가 추수를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⑥상강(霜降)은 서리가 내리기 시작한다는 의미로 겨울잠자는 동물이 겨울잠을 준비하는 시기입니다. 

 

 

4) 겨울의 절기

①입동(立冬)은 겨울이 시작하는 시기이고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은 동면을 시작합니다.

②소설(小雪)은 첫눈이 내린다는 의미로 얼음이 얼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③대설(大雪)은 큰 눈이 온다는 의미로 일년 중 가장 눈이 많이 내리는 날입니다. 

④동지(冬至)는 밤이 가장 길고 낮의 시간이 가장 짧은 시기입니다. 동지를 기준으로 낮 시간이 길어지기 시작합니다. 

⑤소한(小寒)은 작은 추위라는 의미로 겨울중 가장 추운 시기입니다.

⑥대한(大寒)은 큰 추위라는 의미로 24절기중 가장 추운 절기입니다. 

반응형

'명리(命理) > 명리기초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양오행 2편 오행별 특징  (1) 2021.02.16
음양오행 1편  (0) 2021.02.15
파(破)  (0) 2020.09.02
인사신,축술미삼형과 자형  (0) 2020.09.01
천간극과 지지충  (0) 2020.08.31

댓글